요즘은 취업이 참 힘들다고 하는데요. 취업을 하더라도 야근에 스트레스에 금방 이직을 결심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인지 공부원을 선호하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7급 공무원 연봉에 관한 정보인데요.
7급 공무원 월급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요. 다들 알고계시다시피 공무원은 연봉이나 월급보다는 복지혜택이 많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선택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나 여성분들의 경우 육아휴직이 잘 보장되어 좋은데요.
- 급여는 얼마나?
7급 공무원 연봉은 아래 사진을 보시면 알 수 있는데요. 공무원의 경우 호봉에 따라 받는 급여가 다릅니다. 만약 7급으로 처음 승진을 했거나, 7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을 해서 7급으로 받는 첫 월급은 7급에 1호봉의 급여를 받는데요. 한달에 약 150만원 가량을 급여를 받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월세 계약이 끝나기 전에 이사는?
이를 연봉으로 환산하면 여기에 12달을 곱해주시면 될텐데요. 약 1850만원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7급이나 되는데 연봉이 2000만원도 안된다고 낙담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사실 공무원의 경우 월급은 적지만 월급외에 다른 수당으로 지급되는 것들이 많다고 합니다.
- 어떠한 추가 수당이 있을까?
다른 회사를 다녀도 그렇지만 공무원의 경우 역시 추가수당이 있는데요. 명절휴가비가 지급이 되며 가계지원비도 지급이 됩니다. 그리고 정근수당이 지급되며, 정근수당의 경우 매년 오른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급식비, 직급보조비 등 다양한 금액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수당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받는 금액은 훨씬 많다고 하는데요. 안정적인 직장에 복지도 좋고, 출퇴근도 확실하고 야근도 없어서 많이들 선호하시는 것 같습니다. 만약 야근을 할 경우에는 확실히 추가수당이 지급되니 못받을 걱정할 필요도 없겠습니다.
그리고 호봉이 오를수록 급여 역시 오르는데요. 호봉이란 1년에 한번씩 오르게 됩니다. 그러니깐 7급이 되고 첫해라면 1호봉인것이고, 두번째 해라면 2호봉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7급을 보면 호봉이 31호봉까지 있는데요. 그럼 31년간 해야 6급으로 올라가느냐?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일정한 자격요건이 갖추어지면 급이 올라갈 수 있다고 하는데요. 따로 시험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근무성적으로 평가가 된다고 합니다. 물론 자리가 있어야 진급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공무원의 업무를 성과 중심으로 바꾸겠다고 하는데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공인회계사 연봉은 어떻게 될까?
7급 공무원 월급도 관심이 많으시겠지만 9급 공무원 연봉도 궁금하실텐데요. 9급 공무원의 경우 첫 월급은 약 120만원 가량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합격하기까지 많은 노력을 한 것에 비해 적다고 느낄수도 있는데요. 복지나 다른 추가수당 등을 생각하면 그렇지 않을수도 있겠네요.
지금까지 7급 공무원 연봉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열심히해서 되신만큼 나라나 국민, 주민들을 위해 정직하게 일하시는 공무원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심심찮게 뉴스에 공무원 비리가 많이나오는데요. 참 안타까운 일들이 많은 것 같네요. 정직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유용한 글 모음▼
=======================